kakao x 9oorm 구름톤 유니브 3기
교내 스터디 - 자몽꿈
#0 휴식기
추석 연휴로 스터디를 한 주 쉬었다.
KDT 강의와 실습을 따라 하려고 다시 듣기 시작해서 정신이 없었다.
이미 들었던 내용이지만 실습을 따라 하니 느낌도 아주 다르고 기억에 오래 남는 것 같다.
그런데 강의를 다시 듣는 거라 강의 진도를 다시 따라잡으려면 오래 걸릴 거 같다.
블로그를 쓰는 지금도 열심히 듣고 있는 와중에, 실습 파일에서 axios가 오류가 생겨서 답답했다.
디스코드 질문에도 남겨서 답변을 들었는데 axios instance가 아니라 axio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었던 거였다.
#1 팀 회의
기나긴 연휴를 보내고 나서의 회의였다.
한 주밖에 쉬지 않았는데 무척 오랜만에 회의하는 기분이었다.
각자 주제를 정해서 진행하기 때문에, 어떤 주제로 학습할 계획인지 정도를 나누었다.
그리고 개별 학습을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보완할 점을 만들고, 노션에 있던 KDT 일정들도 싹 정리했다.
#2 학습
이번 학습은 compose 2주 차로 아래와 같이 진행했다.
- Image, Icon, Checkbox, TextField, Spacer, Divider
- Slot Api, Scaffold
저번 주차에서는 이미 학습했던 내용을 복습해서 조금 더 compose를 자세하게 학습하는 시간이었다.
학습하다 보니 컴포넌트를 구축하고 디자인을 한 번에 구현할 수 있는 게 React와 유사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Checkbox의 색상을 쉽게 커스텀 할 수 있는 것도 compose의 좋은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Slot Api와 Scaffold는 이번에 처음 안 내용이라 흥미 있었다.
특히 Scaffold의 topBar, BottomBar 등의 슬롯을 만들고 관리할 수 있어 프로젝트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거 같다.
#3 PR 리뷰
지난 주차와같이 Flutter의 비동기적 특성을 잘 알 수 있었다.
위젯의 파기에서 deactivate()와 dispose()의 차이가 재미있기도 했다.
아래는 팀원이 학습한 내용의 일부인데, 구분 이유에 관해서 물어보니 상태 관리 중지와 끝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차이점을 학습하면서 다른 언어의 매력을 알아갈 수 있다는 게 스터디의 장점인 거 같다.
위젯 파기
1. `deactivate()` : 위젯이 트리에서 제거되기 전에 호출한다.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리소스 해제 또는 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2. `dispose()` : 위젯이 영구적으로 제거될 때 호출한다. 리소스 해제 또는 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4 후기 및 PR 링크
compose에 대한 깊이 있는 공부를 시작한 기분이었다.
잘 학습하여서 compose로 프로젝트까지 진행하고 싶다.
그리고 지난 회고에서 스터디 일정과 딱 맞는다고 했는데,
스터디가 회고 날 직전이 아닌 중간고사 전이라 주차 안에 끝내지 못한다.
스터디 기간이 지나도 추가로 학습해서 끝까지 학습을 진행하고 싶다.
[Mobile/Full-Stack] 6week/huiwoo-jo by huiwoo-jo · Pull Request #22 · 9oormthon-univ-dmu/GFD-Mobile
관련 이슈 resolved [Mobile/Full-Stack] 5week/seungwon-woo #18 내용 요약 Image, Icon, Checkbox, TextField, Spacer, Divider Slot Api, Scaffold 후기 Xml과 다른 compose의 특성이 이전에 잠깐 봤던 iOS 코드와 비슷하다고 느껴졌
github.com
'[9oorm x kakao] 구름톤 유니브 3기 > [구름톤 유니브] 교내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몽꿈 - 8주차] Compose 활용 (1) (5) | 2024.10.31 |
---|---|
[자몽꿈 - 7주차] Compose 컴포넌트 (3) (7) | 2024.10.13 |
[자몽꿈 - 5주차] Compose 컴포넌트 (1) (5) | 2024.09.30 |
[자몽꿈 - 4주차] KDT 2주차 학습 및 학습 주제 변경 (4) | 2024.09.24 |
[자몽꿈 - 3주차] KDT 집체 교육 기간과 1주차 학습 (6) | 2024.09.22 |